라우팅(Routing) 이란?
라우팅은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최적의 경로는 주어진 데이터를 가장 짧은 거리로 또는 가장 적은 시간 안에 전송할 수 있는 경로다.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의 종류
라우팅(Routing) 방식은 크게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과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프로토콜
- 라우팅 방식을 관리자가 직접 제어하는 방식 (수동 방식)
- Router에 부하가 최소화, 속도도 상대적으로 빠름,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소모가 발생하지 않음
- 직접 제어해야 하기에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프로토콜
- 네트워크 현재 구성에 맞게 자동으로 최적의 경로를 찾아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
- 정적 라우팅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대역폭을 소비
- 경로 내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백업 경로를 탐색 (내결함성)
- 중,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1)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EGP : EXterior Gateway Protocol)
① BGP(Border Gateway Protocol)
- Distance Vector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
- 경로 거리보다 경로 자체 분석을 통해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 호스트 간 거리가 길어져 패킷 용량이 커지는 단점
2)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 : Interior Gateway Protocol)
①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최초의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현재 거의 사용 X)
- Routing Metric으로 Hop Count만 사용
- Hop Count 최대 카운트가 15임 (중, 대규모 네트워크 망에서는 패킷이 폐기됨)
- 30초 주기로 라우터 업데이트 패킷을 Broadcast함 (중, 대규모 네트워크 망에서는 오버 트랙픽을 초래함)
② IGRP(Interoir Gateway Routing Protocol)
- RI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현재 거의 사용 X)
- Routing Metric으로 Bandwidth, Delay, Load, Reliability, MTU, Hop Count 등 복합적으로 사용
- 90초 주기로 라우터 업데이트 패킷을 Broadcast함
- Hop Count 최대 카운트가 255임
-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라우터 간의 그룹화를 위해 AS Number 이용
③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IGR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 시스코에서 만든 전용 라우팅 프로토콜 (시스코 장비에서만 동작)
- Routing Metric은 IGRP와 동일하게 사용
- 경로에 변화가 생기면 이를 감지하고 알리는 Link State 방식 일부 장점을 채택 (Distance Vector + Link State)
-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라우터 간의 그룹화를 위해 AS Number 이용
④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 링크 상태(Link State)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국제표준 프로토콜
- Routing Metric으로 Path Cost(Link Cost)을 사용
- EIGRP와 마찬가지로 경로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부분만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