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세션통제 |
설계항목 | 세션통제 |
설명 | 다른 세션간 데이터 공유금지, 세션 ID 노출금지, (재)로그인 시 세션ID 변경, 세션종료(비활성화, 유효기간 등) 처리 등 세션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설계해야 한다. |
보안대책 | ① 세션 간 데이터가 공유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② 세션이 안전하게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 ③ 세션ID가 안전화게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 |
연관된 구현단계 기준 | 잘못된 세션에 의한 데이터 정보 노출 |
취약점 개요
사례1 : 불충분한 세션관리
인증 시 일정한 규칙이 존재하는 세션ID가 발급되거나 세션 타임아웃을 너무 길게 설정한 경우 공격자에게 의해 사용자 권한이 도용될 수 있는 취약점이다.
사례2 : 잘못된 세션에 의한 정보노출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는 싱글톤(Singleton) 객체 필드에 경쟁조건(Race Condi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다중 스레드 환경인 java의 서블릿(servlet) 등에서는 정보를 저장하는 멤버변수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여, 서로 다른 세션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설계 시 고려사항
① 세션 간 데이터가 공유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스레드로 동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 컴포넌트나, 싱글톤 객체로 생성되는 서비스 컴포넌트를 설계하는 경우 클래스 멤버변수나 클래스변수는 세션 간에 공유되는 데이터가 되므로 클래스 설계 시 읽기 쓰기가 가능한 변수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② 세션이 안전하게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
시스템 내의 모든 페이지에서 로그아웃이 가능하도록 UI를 설계하고, 로그아웃을 요청하면 사용자에게 할당된 세션을 완전히 제거하는 API를 사용하도록 시큐어코딩 규칙을 정의한다.
세션 타임아웃 시간은 중요기능의 경우 2~5분, 위험도가 늦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15~30분으로 설정하고, 이전 세션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세션이 생성되지 않도록 한다.
웹 브라우저 종료로 인한 세션 종료는 서버 측에서 인지할 수 없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세션 정보는 강제적으로 삭제되도록 설계한다.
중복 로그인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로그인 세션 생성 시 이전에 생성된 로그인 세션을 종료하거나, 새로이 세션이 연결되지 않도록 검증하는 정책을 설계단계에서 고려한다.
세션ID가 포함된 쿠키에 대해 HttpOnly 속성을 설정하여 자바스크립트로 조회할 수 없도록 만들어 XSS 공격에 대응하도록 설계한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현재 활성화된 세션을 삭제하고 다시 할당한다.
[예시] Java의 경우 session.invalidate() 메서드를 사용 (세션에 저장된 정보를 완전히 제거)
③ 세션ID가 안전화게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
(ㄱ) 세션ID 생성
세션ID는 안전한 서버에서 생성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세션ID는 최소 128비트의 길이로 생성되어야 하며, 안전한 난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예측 불가능한 값이 사용되어야 한다.
(ㄴ) 세션ID 사용
URL Rewrite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세션ID가 URL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ㄷ) 세션ID 폐기
로그인 성공 시 로그인 전에 할당받은 세션ID는 파기하고 새로운 값으로 재할당하여 세션ID 고정공격에 대응하도록 한다.
장기간 접속되어 있는 경우 세션ID의 노출위험이 커지므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세션ID 재할당하도록 설계한다.
진단 세부사항
요구사항 ① 세션 간 데이터가 공유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 세션 간 데이터 공유로 인한 정보노출이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확인
- 세션 간 데이터 공유를 점검하는 테스트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지 확인
요구사항 ② 세션이 안전하게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
- 세션생성 및 종료, 세션 타임아웃 시간설정 등 안전한 세션 관리방안이 설계되어 있는지 확인
- 세션이 안전하게 관리되는지 점검하는 테스트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지 확인
요구사항 ③ 세션ID가 안전화게 관리되도록 해야 한다.
- 세션ID가 안전하게 관리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확인
- 세션ID 노출 여부를 점검하는 테스트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지 확인
'Cert > 소프트웨어(SW) 보안약점 진단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현단계 보안약점 기준 - 코드 삽입 (0) | 2024.09.09 |
---|---|
구현단계 보안약점 기준 - SQL 삽입 (0) | 2024.09.09 |
설계단계 보안설계 기준 - 예외처리 (0) | 2024.08.26 |
설계단계 보안설계 기준 - 중요정보 전송 (0) | 2024.08.26 |
설계단계 보안설계 기준 - 중요정보 저장 (0)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