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4 Kubernetes 초보 강의 : Kubernetes Architecture 노드는 Kubernetes가 설치된 물리적 또는 가상머신이다. 노드는 Worker 노드이며 Kubernetes에 의해 실행될 Container이다. (과거에는 Minions이라고 불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노드가 실패하면 애플리케이션은 다운되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노드가 필요하다. 클러스터는 그룹화된 노드의 집합이다. 노드가 여러 개 있으면 부하를 분산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마스터는 Kubernetes에 설치된 또 다른 노드이며 마스터로 구성된다. 마스터는 클러스터의 노드를 감시하고 Worker 노드에서 Container의 실제 Container Orchestration을 담당한다. 시스템에 Kubernetes가 설치되면 실제로 다음 구성 요소가 설치된다. - API 서버, ETCD, kubelet.. 2023. 2. 14. Kubernetes 초보 강의 : Container Orchestration Container 간 연결을 Orchestration하고 부하에 따라서 자동으로 Scale-up 또는 Scale-down 하며, Container를 자동으로 배포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Container Orchestration이라고 한다. Kubernetes(K8S)는 Container Orchestration 기술 중 하나이다. (그 외 Docker의 Docker Swarm, Apache의 Mesos) Docker Swarm은 설정이 쉬워서 시작하기 쉽지만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autoscaling 기능이 부족하다. 반면 Mesos는 설정하고 시작하기 어렵지만 상위 기능을 지원한다. Kubernetes는 가장 인기 있는 이유는 설정하고 시작하기 다소 어렵지만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많은 옵션.. 2023. 2. 14. Kubernetes 초보 강의 : Kubernetes 개요 Container 가 왜 필요한가? OS 위에 아래와 같이 node.js, mongoDB, Messaging(ex. Redis), Orchestration(ex. Ansible) 등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고 하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 구성요소들과 OS 간의 호환성 문제 두 번째, 구성요소들과 Libraries 간의 호환성, OS에 대한 종속성 문제 (구성요소가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될 경우 반복) 마지막, 신규 담당자가 합류할 때 환경 설정의 어려움 등 그래서 이런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Docker 라는 기술이 나왔다. Docker 위에 Container가 실행되고 Container 안의 구성요소들은 다른 Container 안의 구성요소들에게 영향을 .. 2023. 2. 13. servlet parameter (서블릿 파라미터) init-param 1. 적용 범위 및 목적 특정 servlet 내에서만 사용 가능 값을 사전에 선언하고 사용하고자 할 경우 2. 선언 위치 (web.xml 내) testServlet /test.jsp id admin password 123456 testServlet /test.jsp 2. 예시 소스 id : password : 3. 실행 결과 context-param 1. 적용 범위 및 목적 application 내에서 사용 가능한 값을 사전에 선언하고 사용하고자 할 경우 2. 선언 위치 (web.xml 내) uploadDir /upload/file serverIP 127.0.0.1 2. 예시 소스 uploadDir : serverIP : 3. 실행 결과 그 외 방법 application 객체의 set.. 2022. 4. 2. servlet life cycle (서블릿 라이프 사이클) 1. servlet의 생명주기 클라이언트가 servlet 요청을 하면 WAS(Web Application Server)는 메모리에 해당 servlet이 있는지 먼저 확인을 한다. 메모리에 해당 servlet이 없다면 servlet class를 메모리에 올리고 PostConstruct annotation된 메소드, init() 메소드, doGet() 혹은 doPost() 메소드, service() 메소드를 순서대로 실행한다. 메모리에 해당 servlet이 있다면, doGet() 혹은 doPost() 메소드, service() 메소드를 순서대로 실행한다. WAS가 종료되면 destroy() 메소드, PreDestroy annotation된 메소드를 순서대로 실행한다. @PostConstruct (전처리) :.. 2022. 3. 29. servlet mapping (서블릿 매핑) 1. servlet mapping 하는 이유 브라우저 요청(Request) 구분 필요 보안취약, 복잡한 URL http://localhost:8181/test/servlet/com.test.ServletTest http : 프로토콜 localhost : 도메인 8181 : 포트 test : 컨텍스트 패스(context Path) servlet : servlet path com.test.ServletTest : package name (servlet name 포함) 위와 같이 복잡한 URL를 servlet mapping를 통해 servlet path, package name 부분을 간결하게 만들 수 있다. > servlet mapping 후 URL → http://localhost:8181/test/ST .. 2022. 3. 28. 이전 1 ··· 6 7 8 9 다음